APPENDIX D : LANGUAGE USE

언어 사용

이들 예문은 다양한 상황에 대응한 언어 사용과 관련된 실험을 위한 출발점으로 의도되었다. 경험적 일반 원칙은 한 단어 응답(예: 그래, 아니야, 오케이, 물론 )을 지양하고 행동과 참여에 동기부여를 하는 말을 찾는 것이다. 이를 개인적으로 반추하는 사항이거나 메이커 스페이스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들 간의 토론을 촉발용으로 활용하기를 권한다. 당신을 어떤 추가적인 상황과 쓰일 수 있는 말을 생각하는가?

상황 언어 표현 아이디어
아이가 자신의 프로젝트에 좌절하거나 특정 도전적 상황에 막혀 있다. “너가 정말 이것때문에 애먹고 있는 것 같구나. 어떤 도움이 필요하니? 다른 사람도 같은 문제에 봉착했는지 모르겠구나. 확인해보자꾸나.”

“너가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고 들었어. 나라도 그렇게 많은 작업 후라면 좌절을 느꼈을 거야. 잠시 쉬었다가 다시 시작할래? 너가 먼저 진행했던 배터리 연결장치로 아마 다른 아이들을 도울 수 있겠지?”

“그건 나한테도 영 이해가 안가네. 우리가 이런 미스테리를 만났다는 것이 멋지지 않니? 어떻게 돌아가는지 궁금하네. 너가 알게 되면 나한테 말해줄래? 모두들과 그 사실을 공유하게. 아니면 그 문제를 풀기 위해서 모두가 같이 진행할 수도 있어.” | | 대화에 참여시키고 프로젝트에 대해서 더 알게 하고자 한다.| “와, 엄청난 수의 LED와 전선이네! 너가 그 플러그를 꽂았을 때, 다른 것들은 꺼지는데 몇 개의 LED가 켜지는 것을 보았어. 진행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너는 어떻게 생각해? 이건 이게 얼마나 복잡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써 좋을거야. 내가 공유하면 어떨까?”

“펠트, 나뭇잎, 철사를 사용한 것은 멋지고 놀라워. 너가 어떻게 왜 그 재료를 선택했는지 이야기해줄래?” | | 참여, 지속, 상호지원 공동체를 강조하고자 한다 | “ 와, 너 이것에 딱 붙어서 그 모든 문제를 다 겪어냈구나. 이런 일을 도와주라고 내가 다른 애들을 너에게 보내도 되겠니?”

“너가 이 구조들을 그려냈니? 모든 사람들에게 그것들을 공유할 수 있으면 좋겠어.”

“내가 이것을 사진을 찍어서 누군가 문제에 봉착했을 때에 예로 사용해도 될까? 그 외에 뭐를 나누면 도움이 될 것 같니?”

“너가 놀라울 정도로 이것에 열심히 해오고 난관에 봉착한 다른 사람을 돕는데에도 시간을 쓴 것을 알어. 너는 어디에 고무되었고, 누가 너를 도왔는지 궁금해. 너가 다른 프로젝트를 도와줄 때 떠오르는 생각이 없었니?” | | 영메이커가 열린 전개로 시작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너가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사례가 있는 편을 원한다고 들었어. 너가 원한다면 나에게 몇 가지 사례가 있는데 약간 좀 기다려보고 다른 아이들이 무엇을 시도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단지 놀고 즐기면서 먼저 그냥 빈둥거려 보렴. 좀 있다가 너가 어떻게 느끼는지 다시 확인할께.”

“나중에 가능한 방안으로 보여주고 싶은 것이 있어. 먼저 보여주고 너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볼까? 어떤 종류의 것에 그게 유용한지 알아내는데 너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어. 너가 좋다면 너와 그것을 공유하고 너의 생각을 나누고 싶어.” |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